안마도(鞍馬島) 산봉(山峰) 안마도(鞍馬島) 산봉(山峰)(안마도 동촌마을) 지금으로부터 약 200년전(1780년) 안마도(鞍馬島) 동촌(東村)마을에 살았던 申氏 할머니의 꿈에 "나는 나라 장군인데 한번도 출전을 못해서 이곳 북쪽 산너머(현 당너머) 선창가에 와 있으니, 나를 이곳 산봉우리에 묻고 매년 설날이면 농악을 쳐 제를 지내 달.. 함께 사는 세상/옥당골로 찾아들어 2009.08.21
도동리 마을 이야기(영광읍 도동리) 아침에 밭에 가서 모시로 천을 짜 밥 덮개를 만드는 처녀가 있었다. 이 처녀는 그 재주에 맞먹는 배필이 없어 시집을 못갔다. 마을에 석삼내는 총각이 내기를 하여 이기면 나에게 시집오라고 하여 시합하였다. 그러나 이총각은 세포기를 하지 못하여 장가를 가지 못했다. .. 함께 사는 세상/옥당골로 찾아들어 2009.08.21
왕자용 명당 왕자용(王子?) 명당(明堂)(법성면 법성포 뒤쪽 후장동에 위치) 王子? 明堂은 金氏 집안의 소유인대 법성면(法聖面) 법성포(法聖浦) 뒤쪽 후장동에 있다. 金氏집안은 80여년전 조부모(祖父母)를 그곳에 모셨다. 옛날 이곳에 가난한 田氏 부부가 살고 있었다. 하루는 밭에서 김을 메고 있는데 지나가던 스.. 함께 사는 세상/옥당골로 찾아들어 2009.08.21
구호동(九虎洞) 구호동(九虎洞)(백수읍 길용리) 원불교(圓佛敎)에서 대종사(大宗師)라 부르는 교조(敎祖) 박중빈(朴重彬)은 1891년 5월 5일 백수읍(白岫邑) 길용리(吉龍里)에서 박회경(朴晦傾)과 유정천(劉定天)의 셋째아들로 태어났다. 그는 26세 나던 1916년 이곳 노루목에서 도를 깨쳐 1924년 전북(全北) 익산군(益山郡) .. 함께 사는 세상/옥당골로 찾아들어 2009.08.21
방고개 방고개(영광읍∼광주방면사이 불갑저수지 끼고 돌면 보인다) 영광읍에서 광주방면으로 가다가 불갑저수지를 끼고 돌아서면 하나의 큰 고개가 시야에 들어온다. 이 고개의 이름이 바로 방고개이다. 이 고개에 얽힌 유래는 다음과 같다. 옛날에는 길이 험해서 이 고개를 넘기가 매우 힘들었다. 그런데 .. 함께 사는 세상/옥당골로 찾아들어 2009.08.21
헐루게재 헐루게재(묘량면 삼학리서 불갑사 가기 위해 넘는 고 개) 묘량면(묘良面) 삼학리(三鶴里)서 불갑사(佛甲寺)를 가기 위해 넘는 고개는 시산재와 헐루게재가 있으나 두 고개가 다 전에는 퍽 험했다. 시산제는 회산부락뒤에 도달하고, 헐루게재는 유봉부락 뒤로 빠지는 고개로 옛날에는 그 목이 하도 좁아.. 함께 사는 세상/옥당골로 찾아들어 2009.08.21
각시섬 각시섬(각씨도(角氏島) : 낙월군의 한 섬) 각시섬은 무안(務安) 해제(海際) 대사리(大士里) 건너 6km지점에 있는 낙월군도(落月群島)중 한 섬이다. 행정구역으로는 영광(靈光) 낙월면(落月面) 임내리(壬內 理)에 속하는데, 사실 임내도(壬內島)는 각시섬의 작은 도(島)이면서도 이곳 섬을 대표하고 있다. .. 함께 사는 세상/옥당골로 찾아들어 2009.08.21
칠산바다와 朝天 칠산(七山)바다는 영광(榮光) 굴비를 잡는 주 어장이다. 임자도(荏子島)에서 전라북도 위도에 이르는 영광 서해바다를 이르는 말이다. 전설은 해안에서 안마도(鞍馬島)까지 육지로 조천땅이었는데 바다가 되고 말았다는 얘기가 중심이다. 칠산바다에는 자그마치 일곱 고을이 있었다. 이 고을에 서씨(.. 함께 사는 세상/옥당골로 찾아들어 2009.08.21
행동하는 양심 '행동하는 양심'이 됩시다. 행동하지 않는 양심은 악의 편입니다. 독재정권이 과거에 얼마나 많은 사람들을 죽였습니까? 그 분들의 죽음에 보답하기 위해, 우리 국민이 피땀으로 이룬 민주주의를 지키기 위해서, 우리가 할 일을 다 해야 합니다. 사람들의 마음 속에는 누구든지 양심이 있습니다. 그것이.. 함께 사는 세상/신변잡기 주워담아 2009.08.21
백두대간 10구간 백두대간10차 04.07.25 봉현산악회원 30명. 날씨 맑음( 무더위) 부항령→삼도봉(1172m)→화주봉(1207m)→우두령 04:00 부항령에 도착 간단한 준비운동후 산행시작 부항령 고개 바로 밑에는 삼도봉터널이 있다.능선길을 오르다 사면길을 택하여 산행을 한다. 한참을 오르다 보면 헬기장이 있는 봉우리(1030m)에 닿.. 백두대간종주(완) 2009.08.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