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리산 산마을 이야기] (36) 경남 하동군 화개면 호동마을 [지리산 산마을 이야기] (36) 경남 하동군 화개면 호동마을 바람이 불 때마다 함박눈처럼 흩날릴 꽃잎에 흠뻑 젖어보는 것도 좋고, 사람에 치이고 도로 정체에 시달려도 평생 한번, 딱 한 번만큼은 천천히 걸어볼 만도 할 화개 십리벚꽃길…. 사랑을 고백하면 이루어진다 하여 ‘혼례길’.. 지리산둘레길(완) 2012.04.15
[지리산 산마을 이야기] (35) 경남 하동군 화개면 맥전마을 [지리산 산마을 이야기] (35) 경남 하동군 화개면 맥전마을 화개면소재지에서 5㎞ 남짓 떨어진 맥전(麥田)은 ‘보리암’이라고도 불리는 모암마을에 편입된 곳이어서 보리 재배 여부와는 상관없이 그러한 이름이 붙었다.‘화개면지’에 따르면 1936년 3월 큰 지진이 있었고, 같은 해 여름 .. 지리산둘레길(완) 2012.04.15
[지리산 산마을 이야기] (34) 경남 하동군 화개면 화랑수마을 [지리산 산마을 이야기](34)경남 하동군 화개면 화랑수마을 화랑수(花浪水)란 이름은 범왕리 연동마을의 연꽃에서 유래한다. 연동의 연꽃들이 채 피기도 전에 늦장마라도 지면, 연꽃들이 굽이굽이 흘러 화랑수 앞 계곡에서 원을 그리며 꽃이랑을 이루었는데, 그 광경이 아름다워 ‘화랑수.. 지리산둘레길(완) 2012.04.15
[지리산 산마을 이야기] (33) 경남 하동군 화개면 단천마을 [지리산 산마을 이야기](33)경남 하동군 화개면 단천마을 지리산 남부능선 한자락, 해발 약 500m에 위치한 단천마을은 예부터 붉은내~밝은내~박달내로 불리다가 요즘은 달리 ‘박달나들’로 통한다. ‘화개면지’는 ‘박달나무가 많은 시냇가 마을’이라고 지명 해석을 하고 있는데, 박달.. 지리산둘레길(완) 2012.04.15
[지리산 산마을 이야기] (32) 경남 하동군 화개면 부춘마을 [지리산 산마을 이야기](32)경남 하동 화개 부춘마을 이제야 버스 길 터주고… 앵두는 붉게 익어가네 길은 부춘 마을 가슴팍을 관통해 해발고도 1000m가 넘는 형제봉 활공장까지 이어진다. 날개를 편 패러글라이더들은 악양 들판 위를 휘휘 돌아 섬진강 백사장에 내려앉지만 활공장으로 올.. 지리산둘레길(완) 2012.04.15
[지리산 산마을 이야기] (31) 경남 하동군 화개면 의신마을 [서울신문] 벽소령 대피소의 북쪽은 경남 함양군 마천면 '삼정리'이고, 남쪽 초입은 경남 하동군 화개면 대성리 '삼정 마을', 그러니까 벽소령 등산로를 기준으로 남과 북에 각각 '삼정'이란 똑같은 이름의 동네가 있는 셈이다. 마천의 삼정은 지난 호에 소개했던 대로 음정, 양정, 하정을 .. 지리산둘레길(완) 2012.04.15
지리산 둘레길 7 9구례 금평마을에서 화개 쌍계사까지) 120414. 맑음. 혼자서. 문척면 금평마을 - 2.7km 화정리 오봉정사 - 3.5km 구례군 간전교- 2.5km 토지면 석주관 칠의사묘-2km 피아골 주유소(왼쪽 임도)- 3.5km 목아재- 2.8km 외곡리 신촌마을- 2km 내서리 남산마을- 2km 내동리 당치마을- 1km 농평마을 당재-2.5km 경남 하동군 화개면 범왕리 목통마을- 3km 신.. 지리산둘레길(완) 2012.04.15
26. 벽송사(함양 지리산)와 서암정사 120407. 벽송사의 역사 한국 선불교 최고의 종가 벽송사 벽송사(碧松寺)는 조선 중종 시대인 1520년 벽송지엄(碧松智嚴) 선사에 의해 창건되었으며, 서산대사와 사명대사가 수행햐여 도를 깨달은 유서 깊은 절이다. 조선시대 불교의 선맥(禪脈)에서 보면 벽계정심, 벽송지엄, 부용영관, 경성.. 혼자 걷는 인생/백팔사찰순례하기 2012.04.08
지리산 둘레길 6 (마천 추성마을에서 동강마을까지) 120407. 혼자서 외로움과 지루함을 달래면서. 저번 주말에는 부부가 둘레길을 걸었으나 별로 갈 마음이 내키지 않는지 따라나서지를 않아 혼자서 표를 예약하고 마천으로 갔다. 마천에 도착하여 추성마을로 가는 버스를 보니 시간이 20여분밖에 없어 점심을 먹을수가 없다. 버스(1050원)를 .. 지리산둘레길(완) 2012.04.08
[지리산 산마을 이야기] (30) 전남 구례군 마산면 상사마을 [지리산 산마을 이야기] (30)전남 구례군 마산면 상사마을 구례군 마산면 사도리, 정확한 형성 연대를 알 순 없지만 대략 신라 흥덕왕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신라말기 승려 도선이 우연히 이인을 만나 세상사를 물었더니 대답은 하지 않고 모래 위에 삼국도(三國圖)를 그려 삼국통일의 .. 지리산둘레길(완) 2012.0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