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필수 4 요소[잠, 햇빛, 등산, 물] 인간의 면역세포는 밤에 활동합니다. 인간의 몸은 스스로 손상된 세포를 탈락시키고 새로운 세포를 생성하여 돌연변이가 생기는 것을 방어합니다. 이 과정은 잠을 자면서 전개됩니다. 그리고 이 활동이 가장 활발해지는 시간대가 새벽1~ 2 시입니다. 그래서 이 시간엔 반드시 잠에 들어 있어야 합니다... 함께 사는 세상/신변잡기 주워담아 2010.12.04
산은 겨울산이다 높고 추운 곳에만 있는 영혼을 위로하는 풍경… 단단하게 준비한 '모험' 길에 서서 '완벽한 기쁨'을 얻으리라 콧속으로 들어오는 얼어붙은 대기가 가슴속까지 헹궈버릴 듯 청량한 날. 쌓인 눈으로 길이 지워진 능선에 첫 발자국을 찍어 새 길을 내며 걸었다. 귓전을 스치는 바람 소리와 발자국 소리만.. 함께 사는 세상/신변잡기 주워담아 2010.12.04
숨어사는 즐거움 자연과 함께 사는 삶의 여유와 지혜, 숨어 사는 즐거움 허균 지음/ 김원우 엮음/ 솔출판사/ 2010-6-15/ 양장본 | 328쪽 | 188*128mm (B6)/ 책 소개 허균의 <한정록>을 작가 김원우가 우리말로 옮겼다. 이 책에는 하기 싫은 일은 철저하게 하지 않은 은자들의 행적이 실려 있다. 동양의 유구한 역사상에 나타난 .. 함께 사는 세상/한수레의 책을싣고 2010.12.01
인생 [서산대사] 인생 근심 걱정 없는 사람 누군고 출세하기 싫은 사람 누군고 시기 질투 없는 사람 누군고 흉허물 없는 사람 어디 있겠소. 가난하다 서러워 말고 장애를 가졌다 기죽지 말고 못 배웠다 주눅 들지 마소 세상살이 다 거기서 거기외다 가진 것 많다 유세 떨지 말고 건강하다 큰소리치지 말고 명예 얻었다 .. 함께 사는 세상/신변잡기 주워담아 2010.12.01
좁쌀 한 알 일화와 함께 보는 장일순의 글씨와 그림 좁쌀 한 알 최성현 지음/ 도솔/ 2004-5-20/ 반양장본 | 304쪽 | 223*152mm (A5신)/ 책소개 무위당 (혹은 조한알) 장일순 선생의 서거 10주기를 기념하여 원주의 '무위당을 기리는 모임'에서 기획한 장일순의 일화집 겸 서화집이다. 장일순은 서울대학교 미학과를 졸업하고,.. 함께 사는 세상/한수레의 책을싣고 2010.11.27
미치도록 걷고 싶다 시간이 멈춘 그 길 미치도록 걷고 싶다 시간이 멈춘 그 길 2007년 조성되기 시작해 전국적인 걷기 열풍을 일으킨 제주올레. '올레'는 원래 집 앞의 좁은 골목길을 일컫는 말이었다. 그 골목길이 제주를 다시 세상과 이어주었다. 3년 남짓 동안 서명숙 제주올레 이사장은 '놀멍 쉬멍 걸으멍' 17코스 357km의 올레 길을 조성했다.. 함께 사는 세상/신변잡기 주워담아 2010.11.26
지금 이순간을 살아라 원제 The Power of Now 지금 이순간을 살아라/ 에크하르트 톨레 지음/ 노혜숙. 유영일 옮김/ 양문/ 2008-09-02/ 반양장본 | 328쪽 | 210*148mm (A5)/ 책 소개 2001년도 초판의 개정판. 지은이는 영혼이나 존재의 본질 또는 궁극적인 깨달음을 찾는 이들의 존경을 한 몸에 받는 뛰어난 영적 교사이다. 이 책은 그가 세미나.. 함께 사는 세상/한수레의 책을싣고 2010.11.23
지구를 구하는 경제학 불교로부터의 제안 지구를 구하는 경제학 이노우에 신이치 지음/ 박경준 옮김/ 우리출판사/ 2008-10-15/ 반양장본 | 245쪽 | 223*152mm (A5신/ 목차 머리말 제1장 왜 불교경제학이 필요한가 제2장 불교경제학 성립의 가능성 제3장 경제학에 속지 않기 위하여 제4장 행복의 경제학을 추구하여 제5장 불교경제학 후.. 함께 사는 세상/한수레의 책을싣고 2010.11.12
밥벌이의 지겨움 김훈 世談, 두 번째 밥벌이의 지겨움/ 김훈 지음/ 생각의 나무/ 2007-6-22/ 반양장본 | 275쪽 | 194*136mm / 책 소개 현장의 기록! 소설 <칼의 노래>의 저자 김훈의 세설, 제2권. 저자가 2002년부터 2003년까지 신문이나 잡지에 발표한 칼럼과 에세이 50여 편을 모았다. 오랫동안 기자생활을 해온 저자 특유의 직.. 함께 사는 세상/한수레의 책을싣고 2010.11.11
원이엄마의 사랑편지 1998년 4월 안동시 정산동 2기의 무덤에서 조선시대 미라와 함께 당시의 복식이 나왔다. 미라의 주인공은 固城 李氏 李應台와 그의 할머니 一善 文氏였다. 이응태의 무덤에서는 '輓詩'와 '한문편지', 그리고 세계인을 울린 애절한 사랑의 편지인 '원이엄마의 한글편지'와 자신의 머리카락으로 만든 짚신(.. 함께 사는 세상/신변잡기 주워담아 2010.1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