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행자의 그릇, 발우에 담긴 무소유와 깨달음의 지혜
발우/ 지명스님 지음/ 생각의 나무/ 2002-4-10/ 양장본 | 184쪽 | 규외 /
'발우'와 '발우 공양'에 관한 안내서. 발우(鉢盂)는 사찰에서 승려가 쓰는 밥그릇을 가리키는 말로, '수행자에 합당한 크기의 그릇'이란 뜻을 지니고 있다. 다른 말로는 바리때.바리.바루.발다라(鉢多羅).바루라.응기(應器).항용발(降龍鉢)라 부른다.
발우는 가사와 더불어 붓다에서부터 지금에 이르기까지 전통적인 방법으로 전래되어 왔으며 불교의 모든 사상과 정신을 대변하는 상징이다. 발우를 탁발과 혼동하기도 하지만, 한국의 사찰에선 발우 공양만을 할 뿐이다. 탁발의 전통을 지키고 있는 곳은 남방불교이다.
1장은 세계 각국의 검박하고 질박한 발우 사진과 함께 발우와 수행, 음식에 대해 언급한 불교 경전과 고승들의 명상, 일화 등을 소개한다. 2장은 발우 공양의 의미를, 3장은 발우 공양의 역사적 유래와 사찰의 전례적인 식당작법, 재가불자들의 발우 공양법의 절차를 설명한다.
4장에서는 남방불교와 북방불교의 탁발과 발우 의식을 비교하고, 남방불교의 탁발 사례로 미얀마에서의 탁발기를 싣고 있다. 지명 스님은 책머리에서 <발우>를 통해 불교와 수행자의 세계를 이해하고 나아가 오늘날의 음식 문화를 반성하는 생활의 지혜로 삼게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목차
1장 세계의 발우
한국의 발우
서산 스님 청옥발우 / 만공 스님 목발우/ 일엽 스님 목발우/ 석주 스님 목발우/ 설봉 스님 와발우/
혜남 스님 와발우/ 김을생 목발우/ 윤형진 철발우1 / 윤형진 철발우2 / 이봉주 방자발우/
박동식 석발우/ 박형준家 목발우/ 신용주 청자와발우 / 신용주 백자와발우
중국의 발우
중국 목발우/ 중국 백자와발우/ 중국 토발우/ 중국 오대산 보수사 토발우/ 티베트 링 린포체 목발우/ 티베트 달라이 라마 철발우
타이베이의 발우
타이베이 성운 스님 와발우
일본의 발우
일본 목발우
타이의 발우
타이 프라자라타나 몰리 철발우/ 타이 프라마하 투안 시리담모 스님 철발우/
타이 프리스리 파리야티몰리 스님 철발우
미얀마의 발우
미얀마 바단타 자나카 패엽발우/ 미얀마 철발우/ 미얀마 우 꾸마라 스님 철발우/
미얀마 우 시가와 스님 철발우/ 미얀마 우 뿐야 스님 철발우/ 미얀마 우 떼조바따 스님 철발우/
미얀마 마 드베이 금발우
베트남의 발우
베트남 탕 딘 스님 석발우/ 베트남 민 짜우 스님 와발우/ 베트남 쿠살라 치또 스님 철발우
캄보디아의 발우
캄보디아 텝 봉 스님 철발우/ 캄보디아 텝 봉 스님 목발우/ 캄보디아 봐 크리 스님 철발우
스리랑카의 발우
스리랑카 에티폴라 메단카라 스님 철발우
2장 발우란 무엇인가
1. 발우에 대하여
발우의 유래/ 발우의 구성과 재질
2. 발우 공양
발우 공양이란? / 발우 공양의 의미/ 공양 올리는 마음/ 발우 공양의 순서와 방법
3. 발우와 수행
사의법과 걸식/ 발우로 상징된 전법의 의미
3장 발우 공양법
1. 선종교단과 '백장청규'
「선문규식」의 내용과 의의/ '백장청규'제정과 교계의 개혁/ 남산율종의 '교계신학비구행호율의'
2. '교계신학비구행호율의'의 식당작법
3. 재가불자의 발우 공양법
4장 북방불교와 남방불교의 탁발과 발우에 관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