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속의 조선풍속

[그림이 있는 조선풍속사] (18) 작은 학교 서당

돗가비 2010. 8. 12. 22:49

[그림이 있는 조선풍속사] (18) 작은 학교 서당

김홍도의 그 유명한 그림 ‘서당’이다. 앞에 사방관을 쓰고 도포에 검은 띠를 띠고 있는 근엄한 선생님이 앉아 있다. 앞에는 서안이 있고, 오른쪽에는 연상(硯床)이 있다. 선생님의 서안에 책이 없는 것은, 아마 그 책이 선생님의 머릿속에 다 있기 때문일 것이다. 조선의 교육은 원래 텍스트를 외는 것을 기본으로 삼기 때문에 초학자를 가르치는 책쯤이야 다 외우고 있다.

 

▲ 김홍도 ‘서당’. 엄격한 절도 속에서도 따뜻한 사랑이 흐르는 조선시대 글방 풍경.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김홍도의 서당그림 당시의 글방 풍경 그려

 

그림 왼쪽에 머리를 땋은 아이 셋이 있고, 오른쪽에 넷이 있다. 오른쪽 맨 위에 역시 땋은 머리 넷이 있다. 그리고 그 위쪽에 초립을 쓴 약간 나이가 든 학생이 있는 바, 이 놈은 관례를 치른 놈이다. 서당의 학생은 모두 9명이다. 그런데 김홍도가 그린 서당 그림은 서당 안만 보여주고 있다. 제대로 된 서당의 전체 모습을 보려면, 작자 미상의 또 다른 그림 ‘서당’을 보라. 제법 규모가 잡혀 있다.

 

김홍도의 서당 그림의 하이라이트는 역시 그림 중간의 매를 맞고 훌쩍이는 놈이다. 학생들이 모두 책을 한 권씩 앞에 놓고 있는데, 이 녀석은 책을 등 뒤에 두고 훌쩍이고 있는 것이 아닌가. 서안 왼쪽에 가는 회초리가 있는데, 아마도 이 회초리로 맞았을 것이다. 요즘 같으면 학생들이 휴대전화로 사진을 찍어 포도청에 전송해서 폭력 교사를 고발했겠지만, 조선시대에는 아쉽게도 그런 문명의 이기가 없었다.

 

지금은 거의 사라졌지만, 필자 연배 이상의 분들은 기억할 것이다. 부모들은 아이가 학교에서 맞고 오면, 속이야 쓰라렸겠지만 병원에 가서 입원치료를 받을 정도가 아니면, 도리어 네가 맞을 만하니까 맞았지 하고 자식을 나무랐다. 이건 조선시대로부터 물려받은 관념이다. 즉 선생은 자기 자식을 윤리적 인간으로 성장시키기에 ‘사람 되라고’ 체벌을 가했다는 그 관념은 조선시대의 유물이었던 것이다. 교사의 체벌이 결코 정당화될 수는 없지만, 그렇다고 해서 자식이 체벌을 받았다 해서 학교로 찾아가 선생님에게 폭력을 행사하는 것 역시 정당화될 수 없다.

 

초학자를 가르치는 서당의 교육은, 선생님이 먼저 한문으로 쓰인 교과서를 천천히 읽고 한자의 음과 뜻을 일러주면, 학생들은 따라 읽고 머릿속에 새긴다. 그리고 선생님이 문장의 뜻을 천천히 새겨준다. 간단히 말하면 이것으로 끝이다. 학생들은 그 날 배운 한자를 반복해 쓰고, 문장을 외운다. 서당에 따라서는 그 날 배운 것을 그 날 테스트하는 경우도 있고, 다음날 테스트하는 경우도 있다. 테스트할 때 책을 등 뒤에 두고 전날 배운 부분을 암송하고, 번역하고 뜻을 풀이해야 한다. 만약 못하면 당연히 회초리가 따른다. 위 그림의 훌쩍이는 녀석은 테스트를 통과하지 못했기에 맞은 것이다.

 

▲ 작자 미상의 그림 ‘서당’.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16세기 지방사림이 만든 성인교육기관

 

민간의 서당처럼 작은 학교의 존재는 저 멀리 삼국시대까지 소급되지만, 우리가 서당 하면 떠올리는 그런 모습의 서당은 16세기 어림에 지방 사림들이 주동이 되어 만들기 시작한 것이다. 서당은 원래 성인들의 교육기관이고, 어린아이들과는 별 상관이 없었다. 안동의 도산서원도 원래 퇴계 선생이 열었던 도산서당 자리에 세운 것이다.

 

퇴계 선생의 문인이었던 황준량이 쓴 ‘자양서당기(紫陽書堂記)’란 글은, 김응생(金應生)이란 사람이 세운 서당의 기념문이다. 김응생은 여러 차례 과거에 낙방한 뒤 고향에서 서당을 열어 후진을 양성하고자 했던 것이다. 건물이 10칸이나 된다고 하였으니, 어지간한 규모의 학교였다.‘자양서당기’에서 황준량은 서당이 학문과 도덕을 닦는 곳이라고 말하고 있지만, 그것은 명분일 뿐이고 사실 과거 준비가 더 큰 목적이었다. 조선중기 관료이자 학자였던 김응조(金應祖)의 ‘의산서당기(義山書堂記)’를 보면 의산서당에서 문장을 전공하는 사람들이 모여들어 진사시와 문과에 합격한 사람이 쏟아졌다고 하니, 원래 서당이란 교육시설이 없는 지방에서 과거에 응시하기 위해 공부하는 사람들을 위한 학교였던 것이다. 물론 퇴계의 도산서당처럼 도학을 공부하는 곳이 있기도 했지만, 조선시대 양반들의 교육이란 것이 과거를 지향하기 때문에 서당은 자연히 과거 준비를 하는 곳이 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중인훈장 등 월사금 받아 생활비로

 

김홍도가 살았던 18세기 후반이면 서울과 지방 모두 서당이 적잖이 생겨났을 것으로 보인다. 또 양반이 아닌 사람 역시 서당에 다닐 수가 있었다. 서당을 설립하는 것이나, 서당에 입학하는 데 무슨 자격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었으니까 말이다. 또 양반이 아닌 사람이 교육자로 나서는 일도 흔했다. 정조 때 천수경(千壽慶)이라는 사람은 양반은 아니고 서리층에 속하는 사람인데, 지금의 인왕산 아래 누상동 누하동 부근에 서당을 열었다.‘희조일사’란 책에는 그가 열었던 서당 규모를 이렇게 전하고 있다.

 

“송석(松石, 천수경의 호)은 원래 가난하여 늙은 어머니를 봉양할 수 없었다. 그래서 동네 아이들을 모아 가르쳤는데, 자신의 한 달 생활비를 학생들의 수로 나누어 받았다. 얼마 안 있어 학생들이 점점 불어났고, 월사금은 점점 많이 들어왔다. 그래서 한 달에 60전만 내게 하니, 사람들이 “하루에 글을 읽는 값이 어찌 동전 두 잎 밖에 안 된단 말인가?”라고 하였다. 이 때문에 학생들이 점점 더 불어나 많을 때는 300명이나 되었고, 좀 나이가 든 학생들이 어린 학생들을 다시 가르치니, 마치 군대에서 군법을 세운 것처럼 질서가 있었다.”

 

천수경은 양반이 아니니, 과거를 칠 필요가 없었다. 그는 평생을 시인으로 보낸 사람이다. 어머니를 모시고자 하여 서당을 열었던 것인데, 교육 내용이 괜찮고 또 월사금이 저렴했기에 학생들이 폭발적으로 늘어났던 것이다.

 

천수경과 같은 사람은 이 시기에 많이 있었다. 양반 아닌 중인이나 서리들 사이에서 천수경처럼 아이들을 가르치는 것을 생활의 방편으로 삼는 훈장님들이 적지 않았던 것이다. 천수경의 친구 장혼이란 사람은 교서관의 서리였는데,‘아희원람’‘계몽편’ 등의 아이들을 가르치는 교과서를 짓고 출판을 했으니, 이런 책들은 아마도 천수경의 서당에서 사용되었을 것이다. 천수경이나 중인 서리들이 연 서당에서 배운 사람들이 양반일 리는 없고, 역시 자신들의 자제들이나 시정 사람들이었을 것이다. 즉 천수경의 서당은 비양반층의 교육열을 반영해서 생긴 것이다.

 

●조선말 일반 상민들도 서당 열어

 

서당은 조선조 말이면 일반 상민들까지 다니는 교육기관이 된다. 김구 선생의 ‘백범일지’를 보면 서당을 상민들이 어떻게 여는지 잘 알 수 있다. 상민이라 하여 천대를 받는 것이 억울했던 백범은 자신도 글을 배워 진사가 될 수 있도록 해 달라고 아버지를 조른다. 백범의 부친은 동네에 서당이 없고, 또 이웃 고을의 양반 서당에서는 받아 줄 리가 없으니, 아예 서당을 차리기로 한다.

 

문중과 동네 상놈 아이 몇을 모아 자기 집에 서당을 열고 청수리의 이생원을 선생으로 초빙한다. 이생원은 양반이지만 글이 짧아 양반에게는 초빙되어 가지 못하고 상놈서당의 선생이 된 것이다. 석 달 뒤 서당은 신씨 성을 가진 사람 집으로 옮겨가는데, 얼마 있지 않아 그는 이생원을 해고한다. 이유는 이생원이 밥을 많이 먹는다는 것이었지만, 사실은 자기 손자는 열등생인데 백범은 최우등의 학생인 것을 시기했기 때문이었다.

 

이런 서당의 훈장은 가을에 쌀과 보리를 강미(講米)라고 하여 받기로 하고 초빙되었다. 백범의 회고를 들어보면, 아무 선생은 ‘벼 열 섬짜리’ 아무 선생은 ‘다섯 섬짜리’로 일컫는다 하였으니, 수강료의 다소가 그 선생의 실력을 가늠하는 기준이 되었던 것이다.

 

백범이 전한 청수리 이생원처럼 조선후기 서당의 훈장을 하는 사람은 대체로 몰락한 양반이거나, 양반은 아니지만 지식이 있던 사람이었다. 지식을 파는 것 외에 다른 생활수단이 없는 사람들이 훈장으로 나섰던 것이다. 서당 교육은 20세기 전반까지 성행했고, 시골에는 1950년대까지 있었다. 필자가 한문학을 하다 보니, 과거 서당에서 글(한문)을 배우신 선생님들을 종종 만나 뵌다. 그분들은 가끔 과거 서당에서 공부하던 시절을 회상하며 들려주곤 한다. 이제 그분들이 돌아가시면 서당에 대한 기억도 거의 사라질 것이다. 서당은 작은 학교다. 어떻게 보면 선생님과 학생이 얼굴을 맞대고 가르치고 배우는 그 작은 학교가 정말 학교일 것이다. 나에게는 오직 대학입시를 위해 맹진하는 요즈음의 학교는 학교가 아니라, 수용소로 보인다.

 

강명관 부산대 한문학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