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 두 폭이다. 먼저 성협의 그림 ‘길거리에서 기생을 엿보다’를 보자. 길을 가는 두 여인이 쓰고 있는 누런 모자는 전모다. 요사이 영화나 드라마에서 흔히 기생이 전모를 쓰고 나오는 것을 볼 수 있는데, 그럴 만한 이유가 있다. 조선시대에는 기생이나 첩 등 신분이 천한 여자는 햇빛을 가리기 위한 유옥교, 즉 뚜껑이 있는 가마를 타는 것이 금지되어 있었기에 전모를 썼던 것이다. 왼쪽 여자가 전모 아래 쓰고 있는 흰 방한구 역시 내력 미상이다. 아얌이 아닌가 하지만, 그러기에는 폭이 너무 넓다. 오른쪽 여자가 전모 아래 쓰고 있는 것들은, 추측컨대 두꺼운 방한용 모피 위에 가리마를 쓴 것이 아닌가 한다. 가리마는 원래 의녀들이 쓰는 것이지만, 조선후기에 와서 관기들이 의녀로 발령이 났기 때문에 쓰게 된 것이다. 이 그림에 적힌 시를 보아서도 알겠지만(시는 뒤에 소개한다), 이 두 여성은 기생으로 보인다.
●점잖은 선비의 여성을 향한 성적 욕망
왼쪽의 남자는 도포를 입은 점잖은 선비다. 손에 들고 있는 것은 차면(遮面), 혹은 사선(紗扇)이라는 것이다. 내외를 해야 할 때, 예컨대 상주가 나다닐 때 얼굴을 가리는 것이다. 이 남자가 상중에 있었는지는 미상이지만, 꽤나 내외를 엄격히 따지는 인간이었던 것은 분명하다. 한데, 어떤가. 이 자는 차면 위로 눈을 내밀고 두 기생을 곁눈질하고 있지 않은가. 그의 오른쪽에 서 있는 기생은 남자의 눈길에 불쾌했는지 고개를 돌리고 있다.
곁눈질하던 점잖은 남자의 속내는 어떠했을까. 그림에 쓰인 시를 번역하면 이런 뜻이다.“사람을 대하고는 한 마디 말도 없이 고개를 바삐 돌리더니, 화장 짙은 얼굴로 살짝 웃다 찌푸리네. 한밤중 강가 누각에서 춘정이 바다같아, 휘장을 내린 뒤에 스스럼없이 귀고리를 푸는구나”(對人無語轉頭忙,淺笑輕嚬滿面粧.午夜江樓春似海,低不惜解明) 남자가 여자의 얼굴을 보니 여자가 얼굴을 획 돌린다. 그러다가 온통 다 화장을 한 그 얼굴로 살짝 웃더니 또 살짝 찌푸린다. 어떻게 하자는 것인가. 자, 강가의 기생집에 봄이 완전히 깃들었다. 휘장을 내리고 여자가 스스럼없이 귀고리를 푼다. 말하자면 이 시는 기생과의 하룻밤을 간절히 원하는 남자의 속내를 그리고 있는 것이 아니겠는가.
이 그림과 시는 보다시피 남성의 여성을 향한 성적 욕망을 그리고 있다. 여기서 너무나 흥미로운 것은 앞에서 말한 바 있는 차면이다. 차면은 곧 도덕적 장치다. 눈길을 주어서는 안 될 것이 시선에 들어오지 않게 막는 장치다. 하지만 성적 욕망은 차면을 넘어 여성을 향하고 있다. 길 가던 남성이 여성을 계속해서 곁눈질하는 것이 큰 실례가 되는 것은 예나 오늘이나 같다. 더욱이 이 남자는 점잖은 양반이 아닌가. 또 상대방 여성은, 양반으로서는 길거리에서 눈길을 주거나 이야기를 나누어야 할 대상이 아니다. 길거리에서 여성에게 눈길을 주는 것조차 비례이거니와, 상대는 사대부들이 언필칭 더럽다고 하던 직업(기생)의 여성이 아닌가. 조선시대 기생에 대한 도덕적 눈길이 어떠했는지 적절한 사례가 있다. 율곡 선생의 친구였던 성혼에 얽힌 이야기를 하나 해 보자.
정철의 아들 정홍명은 이런 이야기를 전한다. 율곡, 정철, 성혼이 이희삼이란 사람의 집에서 술자리를 베풀고 당대의 명창 기생 석개를 불러 노래를 시켰더니, 성혼이 벌떡 일어나 자리를 떴고 아무도 말릴 수 없었다는 것이다(째째하기는!). 성혼의 행동은, 성리학의 윤리도덕을 따른 것이다. 그 윤리에 의하면, 남성과 여성은 동일한 공간에 있을 수 없다는 것이다. 아내 외의 모든 여성과의 접촉은 금지되어야 마땅한 것이다.
조선시대 양반들의 윤리교과서였던 ‘소학’을 보자. 저 유명한 ‘남자와 여자는 일곱 살이 되면 같은 자리에 앉을 수 없다.’는 뜻의 남녀칠세부동석은 다름 아닌 ‘소학’에서 나온 말이다.‘소학’은 남성과 여성의 접촉 자체를 엄금한다. 몇 부분을 보자.“남자는 가정 안의 일을 말하지 않고 여자는 바깥의 일을 말하지 않는다. 제사나 상사가 아니면 그릇을 주고받지 않는다. 그릇을 주고받아야 할 때면, 여자는 광주리에 그릇을 받고, 광주리가 없을 경우 남자와 여자가 모두 앉은 뒤 남자가 땅에 그릇을 놓은 뒤에 여자가 가져간다.” 어떤가. 남자와 여자는 결코 물건을 직접 건네서는 안 된다. 이런 조항도 있다.“안과 밖은 우물을 같이 사용할 수 없고, 욕실을 같이 사용하지 않아야 한다.” 남자와 여자는 같은 우물을 사용할 수 없고, 욕실도 공동 사용불가다. 철저한 남녀 분리다.
●인간의 욕망은 바닥 없는 독
이 분리는 남성과 여성의 관계가 근원적으로 성적인 관계라는 데 바탕을 둔 것이다. 그것은 남자와 여자의 접촉은 합법적 관계, 곧 결혼에 의한 성관계 이외의 성관계가 맺어질 수도 있다는 우려를 내포한다. 이 우려는 과도한 것이지만, 일면의 진실은 없지 않다. 성욕은 인간의 기본적 욕망이다. 동물과 달리 인간의 욕망은 바닥이 없는 독이다. 아무리 채워도 채워지지 않는다. 성욕 역시 채워지지 않는 욕망이다. 성욕은 자신의 충족됨을 위해 자신의 숙주-인간 자체까지 파멸로 몰아넣는다. 절대권력을 보유한 군주들이 성욕의 충족을 끊임없이 추구하다가 결국 자기 권력의 기반인 국가를 붕괴시켰던 경우를 허다하게 볼 수 있다. 따라서 성욕은 감시와 억압의 대상이 된다. 그것은 보통은 윤리도덕이란 이름으로 감시되거나 억압된다.
한데 이 윤리도덕은 또다른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윤리도덕은 모든 인간에게 초월적 진리가 아니다. 그것은 권력적 속성을 내포한다. 즉, 윤리도덕은 그 윤리도덕을 제작하는 주체의 이익을 감추고 있다는 것이다. 조선은 가부장제 사회였다. 가부장제는 남성의 여성 지배를 기초로 출발한다. 그것은 남성에게 여성은 성적으로 종속되어야 한다는 것, 달리 말해 남성-여성의 관계에서 남성의 성적 이익이 여성에게 일방적으로 관철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런 점에서 가부장제 사회에서 남성의 성욕은 여성에 비해 확실히 자유롭다.
다만 가부장제의 권력 이면에는 기묘하게도 그늘진 구석이 있었다. 가부장제가 진리화한 사회에서 남성은 먼저 자신을 윤리와 도덕으로 의식화해야 했다. 즉, 윤리도덕의 실천자임을 먼저 보여주어야 했던 것이다. 성혼이 기생을 초청한 것을 보고 벌떡 일어선 것은 바로 남성 스스로가 윤리도덕의 실천자임을 과시하는 행위다. 한데 그 실천은 성혼이나 조광조처럼 소수의 별스러운 사람들만이 가능한 것이었다. 대다수의 인간은 도덕이 가하는 압력과 욕망의 아우성 사이에서 시달리기 마련이었다. 곧 도덕을 사이에 두고 자신의 성적 욕망이 외부로 드러나는 것을 차단하려 하지만, 성적 욕망은 어느 사이에 그 차단선을 넘어 여성으로 향한다. 도덕의 감시로 욕망을 잠재우는 것은 근원적으로 불가능하다. 아니, 도덕의 감시는 욕망의 분출을 동반한다.
●남의 아내까지 엿보는 남성의 은밀한 욕망
이것을 김홍도의 그림 ‘길거리에서 남의 아내를 훔쳐보다’로 다시 확인해 보자. 한 젊은 여인이 아이를 안고 소를 타고 있고, 그 뒤에 복색을 보아하니 양반으로 보이는 젊은 사내가 아이를 업고 따르고 있다. 문제는 길 건너편의 말을 타고 가는 남자다. 역시 부채로 얼굴을 살짝 가린 채 남의 여자를 엿보고 있지 않은가.
성협의 그림에 등장하는 여성은 기생이었다. 조선시대 말로 하자면, 노류장화다. 길거리의 버들이요, 담장의 꽃이다. 누구나 보고 꺾어도 된다. 하지만 이 경우는 남의 아내다. 남의 아내까지 엿보는 것이 남성의 저 내면의 욕망이다. 단원의 그림은 그 깊은 곳에 감추어져 있는 은밀한 욕망을 드러내는 중이다.
길거리의 곁눈질이 사랑이 된 경우도 있다. 이옥의 소설 ‘심생’에서 심생은 우연히 길에서 본 젊은 처녀를 잊지 못한다. 수소문하여 처녀의 집을 찾아가 곡절을 겪은 끝에 처녀와 사랑에 빠져 잠자리를 같이 한다. 여자가 심생의 존재를 부모에게 알리자, 부모는 결혼을 허락한다. 하지만 심생의 집에서는 심생을 과거공부를 하라고 절로 올려 보낸다. 연락이 끊어진 얼마 뒤 여자는 심생에게 유서를 보내고 자살한다. 길에서 만나 이루어진 사랑이었으되, 비극적 결말의 사랑이었다.
길거리에서 남자와 여자가 서로를 바라보는 시선은 성욕의 시선이다. 그 시선의 합의가 이루어질 경우, 우리는 그것을 사랑이란 거룩한 이름으로 부른다. 성협과 단원의 그림이 보여주는 남성의 엿보기는, 무언가 부도덕한 느낌이 없지는 않지만, 그것은 절절했던 심생의 사랑의 단초일 것이다. 아니 그런가?
강명관 부산대 한문학과 교수
'그림속의 조선풍속'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림이 있는 조선풍속사] (6) 쌍겨리와 소 (0) | 2010.08.07 |
---|---|
[그림이 있는 조선풍속사 ] (5) (0) | 2010.08.07 |
[그림이 있는 조선풍속사] (4) (0) | 2010.08.07 |
[그림이 있는 조선풍속사] (3) 우물가의 사랑 (0) | 2010.08.07 |
[그림이 있는 조선풍속사] (1) 여성이란 성욕의 주체 (0) | 2010.08.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