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필요에 의해서 물건을 갖지만,때로는 그 물건 때문에 마음을 쓰게 된다.따라서 무엇인가를 갖는다는 것은 다른 한편 무엇인가에 얽매이는 것,그러므로 많이 갖고 있다는 것은 그만큼 많이 얽혀있다는 뜻이다”(‘무소유’ 중에서)
법정스님하면 떠오르는 단어 ‘무소유’.
법정스님이 1970년대 초반부터 쓴 글을 모아 1976년 펴낸 대표적인 산문집 ‘무소유(범우사)’를 비롯해 수십권의 책에서 한결같이 설파한 무소유의 정신은 무한경쟁과 탐욕의 시대에 우리가 지녀야 할 마음의 등불이다.
법정스님의 여러 산문집은 스님 특유의 담백하면서도 격조있는 필치로 고된 일상에 지친 일반인을 위로했고,불교의 가르침을 널리 알리는데도 크게 기여했다.
스님이 말한 ‘무소유’는 불교의 본래무일물(本來無一物),즉 이 세상에 태어날 때 가지고 온 것도 없고 세상을 하직할 때 가져가는 것도 없다는 가르침에서 비롯됐다.
이런 청백가풍(淸白家風)의 무소유의 정신을 일상에서 실천하라고 권한 스님의 글은 종교를 불문하고 많은 사람에게 호응을 얻었다.
산문집 ‘무소유’에 수록된 1971년의 글 ‘무소유’에는 법정스님이 평생 수십권의 책을 통해 반복해 강조했던 무소유의 정신이 고스란히 담겨있다.
당시 3년 째 난초 화분 둘을 애지중지 길렀다는 스님은 장마 후 쏟아지는 햇볕 아래 화분을 놓고 왔다는 생각에 허둥지둥 거처로 돌아간 일화를 소개하며 자신의 집착을 뉘우친다.
“나는 하루 한 가지씩 버려야겠다고 스스로 다짐을 했다.난을 통해 무소유(無所有)의 의미 같은 걸 터득하게 됐다고나 할까.인간의 역사는 어떻게 보면 소유사(所有史)처럼 느껴진다.보다 많은 자기네 몫을 위해 끊임없이 싸우고 있다.소유욕에는 한정도 없고 휴일도 없다.그저 하나라도 더 많이 갖고자 하는 일념으로 출렁거리고 있다.물건만으로는 성에 차질 않아 사람까지 소유하려 든다.그 사람이 제 뜻대로 되지 않을 경우는 끔찍한 비극도 불사하면서.제정신도 갖지 못한 처지에 남을 가지려 하는 것이다” 스님은 “나는 가난한 탁발승이오.내가 가진 거라고는 물레와 교도소에서 쓰던 밥그릇과 염소젖 한 깡통,허름한 담요 여섯 장,수건 그리고 대단치도 않은 평판,이것뿐이요”라고 했던 마하트마 간디의 어록에서 크게 부끄러움을 느꼈다고 쓴다.
1992년 모든 것을 버리고 다시 한번 출가하는 마음으로 강원도 화전민이 버리고 떠난 산골 오두막으로 들어간 스님은 1995년 ‘새들이 떠나간 숲은 적막하다’에 이어 새천년을 앞둔 1999년 12월에 수상집 ‘오두막 편지’를 내놓는다.
‘오두막 편지’에서 스님은 “현재 내가 몸담아 사는 산중 오두막은 여러가지로 불편한 환경이다.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는 이곳에서 단순하고 간소하게 내 식대로 살 수 있기 때문에 일곱 해째 기대고 있다.어디를 가보아도 내 그릇과 분수로는 넘치는 것을 감당할 수 없어,나는 이 오두막을 거처로 삼고 있다”고 썼다.
또 “‘소욕지족(少慾知足)’,작은 것과 적은 것으로 만족할 줄 알아야 한다.작은 것과 적은 것 속에 삶의 향기인 아름다움과 고마움이 깃들어 있다”고 가르치기도 했다.
스님은 강원도 산골 생활 17년째가 되던 2008년 11월에는 길상사 소식지 ‘맑고 향기롭게’에 기고했던 수필을 모아 ‘아름다운 마무리’를 펴내 삶의 마지막에 선 노승의 마음을 담담하게 털어놓는다.스님은 2007년 한차례 병으로 입원하면서 이미 많이 쇠약해진 상태였다.
“길상사를 드나들면서 나는 너무나 많은 것을 얻어간다.그때마다 마음이 개운치 않고 아주 무겁다.말로는 무소유를 떠벌리면서 얻어 가는 것이 너무 많아 부끄럽고 아주 부담스러웠다.늙은 중이 욕심 사납게 주는대로 꾸역꾸역 가지고 가는 꼴을 이만치서 바라보고 있으면 한심스럽기 짝이 없다”그러면서 스님은 “놓아두고 가기! 때가 되면,삶의 종점인 섣달 그믐날이 되면,누구나 자신이 지녔던 것을 모두 놓아두고 가게 마련이다.우리는 빈손으로 왔다가 빈손으로 가는 나그네이기 때문이다.미리부터 이런 연습을 해두면 떠나는 길이 훨씬 홀가분할 것이다”라고 말한다.
스님이 말하는 ‘아름다운 마무리’ 는 역시 “스스로 가난과 간소함을 선택해 소유의 비좁은 감옥으로부터 자신을 해방시키는 것”이었다.
|
“아름다운 마무리는 언제든 떠날 채비를 갖춘다.그 어디 어느 것에도 얽매이지 않고 순례자나 여행자의 모습으로 산다.우리 앞에 놓은 이 많은 우주의 선물도 그저 감사히 받아 쓸 뿐,언제든 빈손으로 두고 떠날 수 있도록 준비한다…아름다운 마무리는 낡은 생각,낡은 습관을 미련없이 떨쳐 버리고 새로운 존재로 거듭나는 것이다.그러므로 아름다운 마무리는 끝이 아니라 새로운 시작이다”법정스님의 첫 법문집인 ‘일기일회(一期一會,2009년 6월 출간)’에도 무소유의 마음이 잘 나타나있다.스님은 2008년 5월24일 여름안거 결제를 맞아 했던 법문에서도 ‘버리고 떠나기’를 강조했다.
“모든 것을 소유하고자 하는 사람은 어떤 것도 소유하지 않아야한다.모든 것이 되고자 하는 사람은 어떤 것도 되지 않아야한다.모든 것을 가지려면 어떤 것도 필요로 함 없이 그것을 가져야한다.버렸더라도 버렸다는 관념에서조차 벗어나라.선한 일을 했다고 해서 그 일에 묶여 있지 말라.바람이 나뭇가지를 스치고 지나가듯 그렇게 지나가라”
연합뉴스